최근 정부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택 구입 정책 자금인 버팀목 대출 금리를 인상하기로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집 값 상승과 가계 대출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는데요,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나에게 새롭게 적용되는 금리를 알아보자
아래의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버팀목 대출이란
- 대출 조건 - 소득 기준, 자산 기준 등 다양한 기준을 알 수 있습니다.
- 변경 후 적용 금리 - 정부 금리 인상 발표 후의 금리를 알 수 있습니다.
버팀목 대출이란?
요즘 같이 전세 보증금이 상승하는 지금 버팀목 대출은 사람들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꼭 필요한 대출 상품입니다. 해당 상품은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기금이 운영하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해당 상품이 집 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의견으로 인하여 금리가 인상되게 되었습니다. 해당 상품의 조건과 변경되는 적용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출 조건
- 무주택 세대주이며,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단, 2자녀 이상의 가정의 경우 6,000만 원 이하의 소득이 기준이 되며, 신혼부부의 경우 7,500만 원 이하의 가정이 대상입니다.
- 자산 기준으로는 2024년 기준 3.45억 원 이하의 자산을 보유한 가정이 해당됩니다.
- 하지만, 대출 접수일에 공공주택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해당 상품을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 대출 한도
- 2자녀 이하 가구 - 전세 보증금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용하실 수 있으시며, 최대 수도권 기준 1.2억 원, 수도권 외 지역은 8,000만 원까지 대출 가능합니다.
- 2자녀 이상 가구 - 전세 보증금의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출받으실 수 있으며, 최대 수도권 기준 3억 원, 수도권 외 2억 원까지 대출 가능합니다.
구분 | 일반 가정 | 2자녀 이상 | 신혼부부 |
소득 기준 | 5,000만 원 | 6,000만 원 | 7,500만 원 |
자산 기준 | 3.45억 원 | 3.45억 원 | 3.45억 원 |
대출 한도 | 전세 보증금의 70% (최대 수도권 1.2억 원, 비 수도권 8,000만 원) |
전세 보증금의 80% (최대 수도권 3억 원, 비 수도권 2억 원) |
전세 보증금의 80% (최대 수도권 3억 원, 비 수도권 2억 원) |
변경 후 적용 금리
앞서 말씀드린 주택 가격 상승으로 정부는 해당 상품의 금리를 인상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해당 상품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었는데요, 실제로 인상되는 금리가 어느 정도인지 아래의 표를 통하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인상 전 금리 표
연 소득 | 5,000만 원 이하 | 1억 원 이하 | 1억 원 초과 |
2,000만 원 이하 | 2.1% | 2.2% | 2.3% |
4,000만 원 이하 | 2.3% | 2.4% | 2.5% |
6,000만 원 이하 | 2.5% | 2.6% | 2.7% |
7,500만 원 이하 | 2.7% | 2.8% | 2.9% |
인상 후 금리 표
연 소득 | 5,000만 원 이하 | 1억 원 이하 | 1억 원 초과 |
2,000만 원 이하 | 2.3% | 2.4% | 2.5% |
4,000만 원 이하 | 2.5% | 2.6% | 2.7% |
6,000만 원 이하 | 2.8% | 2.9% | 3.0% |
7,500만 원 이하 | 3.1% | 3.2% | 3.3% |
버팀목 대출은 일반 가정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꼭 필요한 정책 대출 상품인데요, 이렇게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는 조금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금리 인상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을 신청하려고 하시는 분들께서는 나에게 맞는 금리를 미리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지금 혹시 전세 대출을 알아보고 계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내용이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 재직 청년을 위한 전세 대출 조건은?
전세 보증금이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는 요즘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저렴한 금리로 제공하는 전세 대출 상품이 있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중소기업청년(중기청)
meblog.tistory.com
LH HUG (허그) 든든전세주택 신청방법 및 위치 (서울, 경기)는?
몇 년 전부터 전세 가격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또 떨어지면서 전세 자금을 임차인에게 돌려주 시 못하는 전세사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습니다. 그로 인하여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meblog.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I, MCG 방 개수에 따라 방공제가 적용 될까? (0) | 2024.08.13 |
---|---|
층간소음 해결방법, 드디어 법이 마련 되었어요 세부 기준은? (0) | 2024.08.12 |
신혼부부에게 적용되는 청약 제도 개선사항 확인하기 (0) | 2024.08.12 |
정부 디딤돌 대출 금리 인상, 얼마나 올랐는지 확인해보자 (0) | 2024.08.11 |
중소기업 재직 청년을 위한 전세 대출 조건은? (0) | 2024.08.11 |